홈 >
게시판 >
공지사항
강완숙 공부방 역사교실 <러시아 문화와 예술Ⅱ> 수강생 모집
2017.02.14 11:29
강완숙 공부방 역사교실 <러시아 문화와 예술 Ⅱ> 수강생 모집
1. 강의 개요
- 일시: 매월 1,3주 월요일 14시 ~ 16시 (3월 6일 ~ 6월 19일)
- 장소: 가톨릭회관 2층 205-3호
- 강사: 이지연(외대), 백승무(한림대)
- 대상: 가톨릭 여성
2. 수강료
- 한학기 10만원(8회수업) / 연회비 1만원
3. 입금계좌
- 우리은행 1002-646-029692 (예금주: 김효은)
4. 문의 및 접수
서울대교구 가톨릭여성연합회 T. 02)778-7543
*접수는 선착순 마감입니다.
*반드시 접수 후 입금하시기 바랍니다.
5. 강의계획
일 자 | 주 제 |
3/6 | 러시아리얼리즘문학: 도스토옙스키 / 이지연 러시아의 대문호 도스토옙스키의 삶과 문학을 당시 러시아 사회가 겪었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이해 위에서 살펴본다. |
3/20 |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: 톨스토이 / 백승무 도스토옙스키와 함께 러시아 리얼리즘을 대표하는 톨스토이의 문학과 사상을 살펴본다. |
4/3 | 안톤 체홉과러시아 연극 / 백승무 안톤 체홉의 삶과 문학을 살펴보고 그의 극과 함께 발전하게 되는 러시아 리얼리즘 연극의 미학을 이해한다. |
4/17 | 러시아 모더니즘과 발레루스 / 이지연 세기말 러시아 사회의 절망은 데카당스 예술가들의 유미주의적 작품들에 잘 나타나 있다. 이는 발레루스의 신비스럽고도 화려한 무대와 안무 등을 만들어 내는바, 이 시간에는 발레루스를 통해 러시아 모더니즘 문화를 살펴본다. |
5/15 | 러시아 혁명 / 백승무 20세기 세계사의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라 할 러시아 혁명의 역사를 간단히 살펴본다. |
5/29 | 러시아 아방가르드, 혁명의 예술 / 이지연 러시아 혁명은 예술의 혁명이기도 했다. 이는 예술의 혁명이 현실의 변혁을 가져올 것이라는 믿음이기도 했다. 탈재현적인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학을 혁명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본다. |
6/5 | 소련의 문화와 예술: 러시아 영화, 구성주의, 사회주의 리얼리즘 / 이지연 혁명으로부터 소련이 탄생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1920년대 러시아 영화와 몽타주 이론에 대해 개괄한다. 또한 소련의 예술 원칙으로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해서도 알아본다. |
6/19 |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의 러시아 / 이지연 무너지지 않을 것 같았던 소련에 페레스트로이카의 움직임이 나타나 연방이 해체되고 러시아가 소련을 계승하는 혼란스러운 과정 가운데서 형성된 현대 러시아 문화정체성을 이해하고 현대 러시아 사회의 흥미로운 특성들을 살펴본다. |